물류/물류 용어

물류 관련 용어집

훑소년 2021. 3. 12. 19:18

BPO

Business Process Outsourcing ( 물류 통합 관리 프로세스 )

- 쉽게말해서 물류 관련 ERP시스템으로 주문/발주/계약관리부터 차량/창고/운송관리까지 한 번에 처리하는 플랫폼

 

Forwarding 업체

물류 운송사 혹은 운송 주선 업자

- 화주 공장으로부터 제품에 대한 운송 권한을 받아 화물을 인수하여 목적지 or 바이어에게 인도 ( Ex. 한국로지스틱스 )

수출신고필증

면장이라고도 불림,

- 해외 수출 시 관세사에서 받는 수출허가 증서

DOOR

화주 ( 화물 주인 ) 공장에서 직접 컨테이너에 적선/적입

CBM ( Cubic Meter )

컨테이너 사이즈 규격, 가로세로높이 1m씩의 부피

지입차량

화물차 기사님이 별도로 사업자가 되어 개인사업자를 내고 1인 창업

ERP 시스템

Enterprise Resource Planning ( 전사적 자원관리 )

- 회사 물류관리 시스템

컨테이너 넘버 ( CNTR No. )

‘ABCD 123456‘의 형태로 모든 컨테이너에 부여되는 고유 번호

컨테이너 씰 넘버 ( SEAL No. )

제품 선적 후 밀봉하는 과정에서 밀봉의 기록을 남기기 위해 SEAL을 채우는데 이 때 씰의 번호

Invoice No. ( 송장 번호 )

매매계약의 조건을 정당하게 이행했다는 뜻을 판매측이 구매측에게 전달하는 서류의 번호

Booking No. ( 선적 예약 번호 )

선박 회사로부터 받는 선적 예약 번호’, 어디서 실을 것인가

FOB

Free On Board ( 본선 인도 가격 )

- 쉽게 말해 운임 비용, 무역상의 거래조건에 따른 화물 인도 시 일체 비용

- 수출자가 물품을 선적항에서 본선에 적재하고, 해당 시점까지 판매자가 물품에 대한 위험과 비용을 부담하는 인코텀즈 조건

선사

 항만 운송 업체 ( ex. 고려해운, 남성해운 등 )

Q’TY ( Quantity )

제품 수량

Buyer

구매자, 고객

FCL ( Full Container Load )

화주 공장 or 창고에서 컨테이너에 적입되어 바로 CY로 보내어짐

CY ( Container Yard )

- 컨테이너 야적장, 컨테이너를 보관, 반출입 하는 장소

- 주로 FCL화물이 적입

LCL ( Less than Container Load )

- CFS에서 같은 방향으로 가는 화물끼리 혼재되어 목적지까지 운송

- 화수인이 여러명이므로 시핑 마크부착

 

CFS ( Container Freight Station )

- 컨테이너 화물 집하/작업장

- 주로 LCL화물이 적입

 

D/O No. ( Delivery Order )

화물인도지시서 또는 그 번호

B/L ( Bill of Lading )

- 선하증권

- 선적서류중의 하나로 수출, 수입 업무 진행 시 권리증으로 사용되는 서류

SCM ( Supply Chain Management )

공급망 관리 시스템, 제품이 최종 목적지로 이동하는 동한 상품 및 자금의 흐름을 관리 감독하는 SW 솔루션

제품 번호 ( Grade )

제품 식별을 위해 부여하는 고유 번호 ( 회사 제품의 품명 )

Lot No. ( 로트 번호 )

- 1회에 생산되는 특정 수의 제품 단위. 여러 개 또는 상당 수량의 한 덩어리를 일컬음.

- 제품의 품질을 관리하려고, 동일 원료·동일 공정에서 생산되는 그룹을 표시하는 번호.

 

Bulk Bag ( B.B - 벌크백 )

- 비슷한 용어로 프레콘백

- 1,000kg 정전기 방지 대량 가방

컨테이너 사이즈별 종류

20FT(피트), 40FT, 40HC, 45FT

FEU ( Fourty Foot Equivalent Unit ) : 40FT 컨테이너 단위

TEU ( Twenty Foot Equivalent Unit ) : 20FT 컨테이너 단위

MT

제품 무게를 의미

- Metric Ton  : 미터톤, 1Ton과 같은 의미로 보면 된다. (ex) 14MT = 14,000Kg

상업송장 ( Commercial Invoice )

- 판매자가 매매계약 이행 사실을 기재해 구매자에게 발송하는 문서

- 물품 가격을 한 눈에 볼 수 있는 서류로 수출자가 수입자에 보내는 거래상품 명세서

ETD

Estimated Time of Departure ( 예상 출항 시간 )

- 컨테이너선이 모든 작업을 마치고 선착장을 떠나는 예상시간

ETA

Estimated Time of Arrival ( 예상 입항 시간 )

- 컨테이너선이 항구로 들어오는 예상 시간

- 배가 포트(PORT)에 접안하는 시점이 아니라 도선점에 도달한 시점으로, 배가 아직 바다위에서 선석을 향해 들어오는 과정

 

VSL ( Vessel )

선박명을 의미

- 화물을 선적하여 운송할 수 있는 큰 배

ex. SawaDeeSunrise

VOY ( Voyage )

항차

- 오랜 시간이 걸리는 항해, 항해번호(항차번호)

- 보통 운송 횟수로 표시하며 수출입 구별을 위해 끝에 방향(E,W,S,N)을 표기

ex. 2103S

항구 ( 항만, PORT )

화물 및 사람이 선박으로부터 육지에 오르내리기 편한 곳

ex. Busan Laem Chabang 부산항

BPT : Busan Port Terminal (부산항터미널주식회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