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상은 발견의 시대에서
실행의 시대로 바뀌었다 "
실행이 답이다 - 이민규 지음
6p - "작은 차이가 큰 결과를 만들어 낸다."
크게 성공한 사람들은 평범한 사람들과
구별되는 작은 차이가 있다.
남들이 생각만 하고 있는 것을
행동으로 옮겨 실천했다는 것이다.
: 살다 보면 괜찮은 아이디어가 떠오르기도 하고
목표에 대한 계획을 세우기도 한다.
그러나, 생각만 하는 것으로는
아무 일도 일어나지 않는다.
42p
"성공하는 사람들은
미래로부터 역산해서
현재의 행동을 결정한다."
- 두 부류의 학생이 있다.
각각 학생의 목표를 들어보자.
* 첫번째 학생
> '저는 개인 클리닉을 갖는 게 꿈입니다. 그래서 오늘도 이렇게 아침 일찍 연구실에 나와 공부하고 있습니다. 열심히 공부하다 보면 언젠가 제 꿈을 이룰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합니다. 대학원을 마치고, 임상수련을 받고 전문가로서 몇 년 경험을 쌓고 나면 개인 클리닉을 오픈할 수 있지 않을까요?'
* 두번째 학생
> '저는 지금부터 15년 후에 제 개인 클리닉을 오픈하려고 합니다. 그러기 위해서는 개업 2년 전까지는 최소한 제 전문분야의 논문 3편과 책 1권을 출판하고 박사 학위를 받아야 합니다. 그래야 그 분야의 전문가로 인정받을 수 있을 테니까요. 그러려면 7년 이내에 박사과정에 입학해야 합니다. 그러기 위해서는 지금부터 5년 이내에 임상수련을 마치고 전문가 자격시험에 합격해야 하고요. 그렇게 되기 위해 저는 반드시 2년 이내에 대학원을 졸업할 겁니다. 그래서 저는 오늘 그동안 정리한 논문 주제를 갖고 선생님과 상의하고 싶습니다.'
: 두 번째 학생이 성공할 확률이 높아 보인다.
미래로부터 역설계하는 일이
어렵고 익숙치 않을지라도
목표를 위한 절실한 마음이 있다면
옳은 방향으로 가고 있는지
생각해봐야 할 문제일 것이다.
60p : "돌발사태에 대비하라"
실천과정에서 실천을 방해할 수 있는
돌발사태를 예상해 목록으로 작성한다.
각각 돌발사태에 대한 대비책을 찾아낸다.
더해서 대비책에 대한 차선책도 찾아낸다.
: 결심을 중도에서 포기하는 것은 의지박약이나 세상의 방해보다는 그에 대한 대비책을 제대로 마련하지 않았기 때문인 경우가 훨씬 더 많다. 돌발 사태가 일어나는 우리는 이렇게 여유 있게 말해주면 된다. "안녕, 또 찾아왔네? 그런데 미안해서 어쩌지? 이번에는 대비책을 미리 마련해 뒀거든!"
84-92p : "Think from it"
목표로부터 생각하라
1. 자기 동기화
: 원하는 목표를 이루지 못했을 때,
나타나는 후회와 고통을 미리 예측하고
실행을 이끌어 냄.
2. 파생 효과
: 원하는 목표를 이뤘을 때,
나타나는 긍정적인 효과들을
미리 예측하고 동기를 얻어냄.
108p
"JUST DO IT,
후회는 아무리 빨라도 늦고,
시작은 아무리 늦어도 빠르다."
: 실천하기 좋은 특별한 날은 없다. 실천하기 가장 좋은 날은 '오늘'이고, 가장 좋은 시간은 '지금'이다. 힘들고 불행하게 사는 사람들은 내일 하겠다고 하고, 성공하고 행복한 사람들은 지금 한다고 말한다. 다른 사람들보다 많은 성과를 내고 빠른 시간에 승진을 하고, 더 많은 소득을 올리는 사람들의 핵심 자질은 무엇일까? 바로 결심을 곧바로 행동에 옮기는 행동지향성이다.
148p
"실험이라 생각하면
인생이 즐겁다"
: 고백하고 싶은 사람이 있는데, 환불을 받고 싶은데, 설득할 사람이 생겼는데 '망신만 당할 거야' '괜한 짓이야' '그 사람은 안돼' 이런 생각이 들 때 그냥 포기하지 말고 그 상황을 실험 상황이라고 생각하자. 거절당하더라도 말을 걸어보자. 오래전에 연애박사란 별명을 가진 친구 한 명이 그를 부러워하면서 비결을 묻는 친구들에게 이렇게 말했다. "그냥 실험이라고 생각해. 그러면 부담도 없고 실제로 실패를 하다 보면 시도하지 않았을 때 배울 수 없는 많은 걸 배울 수 있어"
202-209p 자기규정 효과
'나는 이런 사람이다'라고 스스로를 규정하게 되면 정말 그런 사람처럼 행동한다.
: 학기 초가 되면 학생들이 자기소개할 시간을 갖는다. 그들의 자기소개는 대개 이런 식이다. "심리학과 3학년 ooo입니다. 잘 부탁합니다.", "이번에 전자공학과에 입학한 신입생 ooo입니다." 자기소개가 끝나면 학생들에게 이렇게 제안한다. "여러분 자신을 너무 좁게 정의하지 마십시오. 예를 들면 이런 식으로 좀 더 넓게 규정해 보면 어떨까요? 나는 세상의 모든 어린이들이 꿈을 찾고, 아무리 힘든 일이 있어도 절대 포기하지 않게 해주는 그런 만화가가 되기 위해 심리학을 공부하고 있는 ooo입니다"
오래전에 세네카는 이렇게 말했다. "우리가 어떤 일을 감히 하지 못하는 것은 그 일이 너무 어렵기 때문이 아니라, 어렵다는 생각에 사로잡혀 그 일을 시도하지 않기 때문이다"
228- 237p
"퇴로를 차단하라,
딴생각을 할 수 없다."
: 위대한 사람들은 하지 말아야 할 일은 하지 못하도록, 해야 할 일은 할 수밖에 없도록 상황을 조절해 주는 지렛대를 가지고 있다. 나폴레옹은 죽음을 무릅쓰고 싸우기 위해 건너왔던 다리를 불 지르라고 명령했다. 위대한 정복자 줄리어스 시저나 무적의 해적 바이킹 역시 육지에 도착하면 자신들의 배에 불을 질렀다. 모두 도망갈 구멍을 막고 퇴로를 차단해야 죽기 살기로 싸워 이길 수 있다는 것을 알고 있었기 때문이다.
한 고조의 명장 한신은 전쟁을 할 때 전세가 불리해지면 병사들이 도망갈 염려가 있기 때문에 강물을 뒤로해서 진을 쳤다. 그래서 물에 빠져 죽으나 싸워서 죽으나 마찬가지라고 생각한 병사들은 죽을힘을 다해 싸워 전쟁에서 이기게 되었으며 이로 인해 '배수진을 친다'는 말이 생겨났다.
: 위 예시들처럼 돈을 모으고 싶다면 수입 중 일정액이 적금 통장으로 미리 빠져나가도록 자동이체를 신청하거나, 영어공부를 하고 싶다면 시간이 날 때 하겠다고 생각하지 말고 퇴근 직후 수강할 수 있는 영어학원에 등록해야 한다. 하지 말아야 할 일이 있다면 그쪽으로 도망칠 수 있는 퇴로를 차단하자. 해야 할 일이 있다면 어쩔 수 없이 그 일을 할 수밖에 없도록 가두리를 설치하자.
254-261p
"목표에서 눈을 떼지 말라"
실패하는 사람들에게는 몇 가지 특성이 있다.
첫째, 목표에 대한 절실한 동기가 없다.
둘째, 유혹에 쉽게 휘둘린다.
셋째, 목표를 잊고 지내는 시간이 많다.
: 원하는 것을 얻고 싶지만 유혹에 굴복하고 만다면 헨리 포드의 다음 말을 떠올리자. "장애물이란 당신이 목표에서 눈을 돌릴 때 나타나는 것이다. 목표에 눈을 고정하고 있다면 장애물은 보이지 않는다."
헝가리 축구 영웅인 페렌츠 푸스카스는 우승의 비결을 이렇게 이야기했다. "나는 많은 시간 축구를 한다. 공을 찰 수 없을 때는 축구에 대해 이야기를 한다. 축구에 대해 이야기하지 않을 때는 축구에 대해 생각을 한다."
지금부터 2,300여 년 전에 이미 아리스토텔레스 역시 이렇게 말했다. "머릿속으로 자신이 바라는 것을 생생하게 그리면 온몸의 세포는 모두 그 목적을 달성하는 방향으로 조절된다."
293p
"가장 확실하게 배울 때는
다른 사람을 가르칠 때다."
: 1년에 몇 권씩의 책을 출간하는 필력이 대단한 작가 한 명은 언젠가 이렇게 말했다. "저는 알고 싶은 분야가 있으면 그 주제로 책을 씁니다. 글을 쓰려면 어쩔 수 없이 그 주제에 대해 공부할 수밖에 없기 때문입니다." 정말 멋진 발상이 아닌가. 이렇게 배우고 싶은 분야가 있다면 그것을 주제로 글을 써보고 그 내용을 누군가에게 가르쳐주자.
에필로그
"물을 바라보는 것만으로는
바다를 건널 수 없다."
: 라빈드라나트 타고르의 말처럼 삶을 바라만 봐서는 결코 원하는 것을 내 것으로 만들 수 없다. 책을 다 읽고 난 다음, 여러분이 오늘 실천한 그 작은 일이 그려나갈 삶의 궤적이 궁금하다. 그 일이 여러분의 삶에서 좋은 일로만 이어지는 첫 번째 시작점이 되기를 간절히 소망한다. One day!, One Thing!
책의 일부 내용을 발췌해보았는데요.
책에는 더 많은 예시와
이해를 도와주는 글들이 많으니
완독 해보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여러분들은 동기를 어떻게 얻으시나요?
저는 소중한 사람들을 위해
내가 가져야 할 것이 어떤 것인지
많이 생각해보고 있는데요.
이를 테면, 돈이 될 수도 있고 지식이 될 수도 있고
태도가 될 수도 있고요.
저자의 말처럼 미래에 대해서 생각하다 보니
무슨 일을 해야 할지
계속 생각하게 되고,
방향이 잡히더라고요.
끝으로, 희망찬 내일을 위해
오늘도 실행하는 모든 분들을
응원하며,
<실행이 답이다>
후기를 마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